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57

일산화탄소 경보기(CO 경보기)의 설치시기와 설치해야되는 보일러, 도시가스 법규, 일산화탄소 경보기 제품, 설치 방법, 일산화탄소 경보기 특징, 추가 설명 1. 설치시기제조일 2020년 08월 05일 이후 보일러의 이동 및 설치시 CO경보기(일산화탄소 경보기) 설치 필수2.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해당되는 보일러보일러 명판의 연소기명 : "가스온수 보일러"는 CO경보기 설치 필수 (가스순간 온수기는 CO경보기 미설치) 3. 도시가스 법규[도시가스 사업법 시행규칙 별표7] 3. 연소기 가. 시설기준 라) 일산화탄소 경보기(「화재예방, 소방시설 설치·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36조제3항에 따른 제품검사를 받은 일산화탄소 가스누설경보기를 말한다. 이하 같다)는 가스보일러의 배기가스에 의한 중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그 배기가스가 누출될 경우 이를 신속히 검지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가스보일러 주변 또는 적절한 장소에 설치할 것. 다만, 다음 (1) 또는 (.. 2025. 8. 10.
방화론 - 소화이론(소화의 정의, 소화의 원리, 소화의 형태, 물의 주수형태, 소화방법) 1. 소화의 정의물질이 연소할 때 연소의 3요소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거하여 연소가 계속될 수 없도록 하는 것 ▷ 연소의 3요소 : 가연물질(연료) / 산소공급원(산소) / 점화원(온도) 2. 소화의 원리▷ 가연물이 완전연소시 발생물질 : 물, 이산화탄소 ▷ 불연성 가스 : 수증기, 질소, 아르곤, 이산화탄소 ▷ 아르곤 : 불연성 가스이지만 소화효과는 기대할 수 없음 ▷ 공기중의 산소 농도 : 21% 3. 소화의 형태1) 냉각소화 ⓐ 점화원을 냉각시켜 소화하는 방법 ⓑ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열을 빼앗아 가연물의 온도를 떨어뜨려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 ⓒ 다량의 물을 뿌려 소화하는 방법 ⓓ 가연성물질을 발화점 이하로 냉각 ▷ 물의 소화효과를 크게 하기 위한 방법 : 무상주수(분무상 방사) ▷ 소화약제의 방출.. 2025. 7. 12.
방화론 - 방화안전관리(화점의 관리, 연소방지의 설비, 초기소화설비, 본격소화설비,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, 소방훈련, 인명구조활동, 방재센터, 안전관리, 피난기구, 소방용배관) 1. 화점의 관리ⓐ 화기 사용장소의 한정 ⓑ 화기 사용책임자의 선정 ⓒ 화기 사용시간의 제한 ⓓ 가연물, 위험물의 보관 ⓔ 모닥불, 흡연 등의 정리 ▷ 화점 : 화재의 원인이 되는 불이 최초로 존재하고 발생한 곳2. 연소방지(방배연)의 설비ⓐ 방화문, 방화셔터 ⓑ 방화댐퍼 ⓒ 방연수직벽 ⓓ 제연설비 ⓔ 기타 급기구 등 ▷ 방화문, 방화셔터 : 화재시 열, 연기를 차단하여 화재의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▷ 방화댐퍼 : 화재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 ▷ 방연수직벽 : 화재시 연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설비 ▷ 제연설비 : 화재시 실내의 연기를 배출하고 신선한 공기를 불어 넣어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설비3. 초기소화설비와 본격소화설비 4.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과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소방안전.. 2025. 7. 7.
방화론 - 건축물의 방화 및 안전계획(피난행동의 특성, 건축물의 방화대책, 건축물의 안전계획) 1. 피난행동의 특성1) 재해 발생시의 피난행동 * 비교적 평상상태에서의 행동 * 긴장상태에서의 행동 * 패닉 상태에서의 행동 ▷ 패닉상태 : 인간이극도로 긴장되어 돌출행동을 할 수 있는 상태 ▷ 패닉의 발생원인 * 연기에 의한 시계제한 *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장애 * 외부와 단절되어 고립 2) 피난행동의 성격 ⓐ 계단 보행속도 ⓑ 군집 보행속도 → 자유보행 :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고 걷는 속도로서 보통 0.5~2m/s이다 → 군집보행 : 후속 보행자의 제약을 받아 후속 보행속도에 동조하여 걷는 속도로서 보통 1m/s이다 ⓒ 군집 유동계수 : 협소한 출구에서의 출구를 통과하는 일정한 인원을 단위폭, 단위시간으로 나타낸 것으로 평균적으로 1.33인/m·s이다2. 건축물의 방화대책1) 피난대책의 일반적인 .. 2025. 7. 5.
방화론 - 건축물의 내화성상[건축방재의 기본적인 사항, 건축물의 방재기능, 건축물의 내화구조와 방화구조, 건축물의 방화문과 방화벽, 건축물의 방화구획, 파난계단의 설치기준, 건축물의 화재하중, 개구부와 내화율) 1. 건축방재의 기본적인 사항1) 공간적 대응 ▷ 내화성능 : 어떤 구성요소 또는 부재가 지속적으로 화재에 견딜수 있는 시간 ▷ 방연성능 : 화재시 연기가 확산하여 피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 ▷ 내장제한 : 화재시 피해를 줄이고 피난 및 소화를 돕기위해 건물 내부의 재료를 규제하는 것 ▷ 불연화(연소되지 않음) : 불연성 도는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불타지 않거나 불타기 힘들게 하는 것 ▷ 난연화 : 쉽게타지 않음, 불꽃에 접촉시 타지만, 불꽃을 제거하면 스스로 불꽃을 내면서 연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성질 ▷ 출화 : 발화, 화재발생 ▷ 건축물의 방재기능 설정 요소 : 부지선정, 배치계획 / 평면계획 / 단면계획 / 입면계획 / 재료계획 2) 설비적 대응 제연설비, 방화문, 방화셔터, 자.. 2025. 7. 5.
화재론 - 물질의 화재위험(화재의 발생체계, 위험물 일반사항, 특수가연물, 위험물질의 화재성상, LPG, LNG, 최소발화에너지) 1. 화재의 발생체계1) 화재위험 ⓐ 발화위험 ⓑ 확대위험 ⓒ 피해의 증가 2) 화재를 발생시키는 열원2. 위험물의 일반사항 (위험물 : 인화성 또는 발화성 물품)1) 제1류 위험물▷ 조연성 : 연소를 돕는 성질 ▷ 조해성 : 녹는 성질(질산염류) ▷ 무기과산화물 : 물과 반응시 산소 발생 ▷ 질산염류 : 흡습성이 있으므로 습기에 주의할 것 ▷ 황화린 : 온도 및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자연발화 위험이 크다 2) 제2류 위험물▷ 질식소화 : 공기중의 산소농도를 16% 이하로 희박하게 하여 소화하는 방법▶ 저장물질 * 황린, 이황화탄소 → 물속 * 니트로셀룰로오스 → 알코올 속 * 칼륨, 나트륨, 리튬 → 석유류(등유) 속 * 아세틸렌 → 디메틸프로마미드(DMF), 아세톤 ▶ 저장제외 물질 산화프로필렌, 아.. 2025. 7. 3.
반응형